본문 바로가기
건강

일본 매독 환자 역대급, 매독 초기 증상 3단계 감염 경로

by mindfulrich 2023. 8. 14.

일본 매독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매독 등의 성병 전문의 부족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의료체계가 붕괴할 수도 있다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독이란 무엇인지, 매독 증상 및 감염 경로, 치료 및 후유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독에 대한 내용 증상 및 감염 경로 후유증
매독이란 매독 초기 증상 감염경로

일본 매독 확진 환자수

일본 매독 확진 환자 수는 8월 10일 일본 보도에 따르면 총 8,349건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년대비 31% 늘어난 수치이며, 올해 확진자는 1만 7000명으로 예상됩니다. 매독 환자는 10년 사이 이는 13배 증가한 추세라고 전해집니다.

일본 매독 감염 위험성

특히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매독 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임산부가 매독에 감염 시 유산 등의 원인이 되거나, 태아가 선천적으로 매독에 걸릴 수도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매독뿐만 아니라 다른 성병도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합니다.

일본 매독 전문의 부족

이처럼 일본의 매독 감염 환자는 늘어나는데 반해, 매독 등 성병 전문 의료진은 매우 부족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현재 매독 확진 환자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의는 479명이며 어떤 지역에는 전문의가 아예 없다고 하죠. 이전처럼 대도시 및 유흥가 주변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매독이라는 질병이 쉽게 발병하고 있기에 의료체계 붕괴를 걱정할 정도라고 전해집니다.

 

매독이란? 

매독(syphilis)은 성병 중 하나로, 박테리아에 의해 전염되는 질환입니다. 매독은 주로 성적 접촉를 통해 전파되지만, 임신 중에 엄마로부터 태아로 전달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여성에게 치명적인 성병으로 임산부가 걸릴 시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매독 증상 (매독 초기 증상)  

매독 증상은 다양하지만, 몇 가지 주요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병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증상은 발진입니다. 다만, 실제 자가 진단으로는 한계가 명확하오니 해당 내용을 참고하시어 병이 의심된다면 전문의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독 초기 증상 증상 내용
바오가니즘 붉은 반점 발기부전, 근육통, 발열 등과 함께 붉은 반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점은 주로 발기부전과 함께 발생하며, 피부 위에 붉은 색으로 나타납니다.
전신 증상  발진, 입 안의 백색 반점, 발바닥과 손바닥의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몸 전체에 퍼져 나타나며, 감염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발진 지속적으로 발진이 일어날 시 의사에게 상담하세요. 
기타 증상 매독은 다양한 부위에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피부, 입, 생식기 등 각 부위의 이상을 느낄 경우 의사에게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독 증상 3단계 

  • 1차 증상: 감염 후 약 2주부터 3개월 정도 뒤에 나타날 수 있는 발진이나 궤양과 같은 증상입니다. 이 궤양은 매독 궤양(chancre)이라고 불리며, 원모양의 궤양이라고 합니다.
  • 2차 증상: 1차 증상이 치료되지 않았거나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약 6주에서 6개월 정도 뒤에 발생할 수 있는 발진, 발열, 몸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 발진은 종종 손바닥과 발바닥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3차 증상: 2차 증상을 치료하지 않은 경우 몇 년 동안 치료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중추신경계 및 심장, 뼈 등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의 영향을 받은 경우 심각한 합병증, 신경학적 문제와 정신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독 감염 경로

매독은 주로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이미 매독에 감염된 사람과의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또한, 매독에 감염된 어머니를 통해 태아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매독 치료 

매독은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조기 치료를 하지 않고 매독에 걸린 것을 모를 시 전파의 위험이 있습니다. 전파를 막기 위해 성적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매독의 치료는 항생제를 이용하여 진행된다고 합니다. 매독은 혈액 검사, 환부 검사 등을 통해 진단됩니다. 주로 사용되는 매독 진단 검사에는 RPR 검사와 VDRL 검사 등이 포함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매독 후유증 

매독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신경계 문제, 심장 및 혈관 문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니, 전문의가 처방한 약과 치료를 받은 후에도 휴식, 청결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